728x90

2023/04/10 3

[인공지능] 5장. 딥러닝과 텐서플로1

▶5.1 딥러닝의 등장 1980년대의 깊은 신경망 - 구조적으로는 쉬운 개념이다. - 다층 퍼셉트론에 은닉층을 많이 두면 깊은 신경망 - 하지만 학습이 잘 안 된다. - 그레이디언트 소멸 문제 - 작은 데이터셋 문제 - 과다한 계산 시간 5.1.1 딥러닝의 기술 혁신 딥러닝은 새로 창안된 이론이나 원리는 빈약하다. - 신경망의 구조와 동작, 학습 알고리즘의 기본 원리는 거의 동일하다. 딥러닝의 기술 혁신 요인 - 값싼 GPU 등장 - 데이터셋 커짐 - 학습 알조리즘의 발전 - ReLU 활성 함수 - 구제 기법 - 다양한 손실 함수와 옵티마이저 개발 학술적인 측면의 혁신 사례 - 컨볼루션 신경망이 딥러닝의 가능성을 열었다. - 1990년대 LeCun은 필기 숫자에서 획기적인 성능 향상 - AlexNet은 ..

[백준/BOJ] gold4 - 1967번 트리의 지름 (Python)

▶1967 - 트리의 지름 ▶문제 트리(tree)는 사이클이 없는 무방향 그래프이다. 트리에서는 어떤 두 노드를 선택해도 둘 사이에 경로가 항상 하나만 존재하게 된다. 트리에서 어떤 두 노드를 선택해서 양쪽으로 쫙 당길 때, 가장 길게 늘어나는 경우가 있을 것이다. 이럴 때 트리의 모든 노드들은 이 두 노드를 지름의 끝 점으로 하는 원 안에 들어가게 된다. 이런 두 노드 사이의 경로의 길이를 트리의 지름이라고 한다. 정확히 정의하자면 트리에 존재하는 모든 경로들 중에서 가장 긴 것의 길이를 말한다. 입력으로 루트가 있는 트리를 가중치가 있는 간선들로 줄 때, 트리의 지름을 구해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 아래와 같은 트리가 주어진다면 트리의 지름은 45가 된다. 트리의 노드는 1부터 n까지 번호가..

BOJ Code/Gold 2023.04.10

[백준/BOJ] gold5 - 10026번 적록색약 (Python)

▶10026 - 적록색약 ▶문제 적록색약은 빨간색과 초록색의 차이를 거의 느끼지 못한다. 따라서, 적록색약인 사람이 보는 그림은 아닌 사람이 보는 그림과는 좀 다를 수 있다. 크기가 N×N인 그리드의 각 칸에 R(빨강), G(초록), B(파랑) 중 하나를 색칠한 그림이 있다. 그림은 몇 개의 구역으로 나뉘어져 있는데, 구역은 같은 색으로 이루어져 있다. 또, 같은 색상이 상하좌우로 인접해 있는 경우에 두 글자는 같은 구역에 속한다. (색상의 차이를 거의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같은 색상이라 한다) 예를 들어, 그림이 아래와 같은 경우에 RRRBB GGBBB BBBRR BBRRR RRRRR 적록색약이 아닌 사람이 봤을 때 구역의 수는 총 4개이다. (빨강 2, 파랑 1, 초록 1) 하지만, 적록색약인 사람은..

BOJ Code/Gold 2023.04.10
728x90